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밍 기초6

02. 프로그래밍에 필요한 전산지식 5탄 - 함수 안녕하세요. 콤퓨타 학원에 원장을 하고 있는 이프로입니다. 헤헴 ^^ 함수.... 수학에서 볼만한 단어입니다. 동작 원리로 보면 수학에서 말하는 함수와 별만 다를게 없다고 생각합니다. 오늘 주제는 생각보다 간단할 거 같은데 바로 시작해보겠습니다. 함수 함수를 설명할때 위 그림을 많이 사용하는데요. 함수쪽으로 어떻한 데이터를 넣으면 함수에서 정해놓은 작업을 하고 그의 결과를 내보내주는 기능을 합니다. 예전 글의 예제를 가져와보면 [바구니에 담긴 사과를 카운트하세요] 이부분을 함수를 이용한다고 생각해보겠습니다. 1. 함수에 바구니에 담긴 사과 데이터를 넣어 줍니다. 2. 함수가 바구니에 담긴 사과를 타운트 합니다. 3. 카운트가 끝나면 카운트 결과를 내보내줍니다. 이부분에서 잠시 한번 생각을 해보겠습니다. .. 2023. 12. 29.
02. 프로그래밍에 필요한 전산지식 4탄 - 제어문 안녕하세요. 콤퓨타 학원에 원장을 하고 있는 이프로입니다. 헤헴 ^^ 은행은 영어로 뱅크라고 하조. 뱅크의 뜻을 아시나요? 원래는 둑이나제방같은걸 말하는데요. 우리가 현재 이야기하는 은행의 뜻과는 다르조. 은행(뱅크)라는 말은 돈에 흐름을 제어 한다는 뜻에서 유래됐다고 합니다. (제가 알고 있던 이야기는 푸는건데 잘못된거면 말씀주세요.) 우리가 하려는 프로그래밍도 하나의 흐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전 글에서 바구니에 감겨진 사과의 수를 셀때 세는 방법을 단계별로 이야기드렸고 이걸 컴퓨터에게 일을 시킬때에 대해서 간단하게 이야기 드렸습니다. 이처럼 프로그래밍에 흐름이 있는데 이 흐름에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제어를 해주어야 제가 원하는 결과물을 얻을수 있을겁니다. 이렇게 프로그램에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문이 .. 2023. 12. 28.
02. 프로그래밍에 필요한 전산지식 3탄 - 연산자 안녕하세요. 콤퓨타 학원에 원장을 하고 있는 이프로입니다. 헤헴 ^^ 프로그래밍을 시작하면 무조건 나오는 것중에 하나가 있는데요. 바로 연산자 입니다. 연산자는 변수와 상수를 사용하여 계산하고 비교하는 방법을 말하는 것입니다. (GPT한테 물어봤습니다. ^^) 연산자에는 4가지정도의 종류가 있습니다. (따지고 들면 더 있을수도 있겠지요) 1. 대입 연산자 2. 산술 연산자 3. 비교 연산자 4. 논리 연산자 프로그래밍을 조금이라도 해보신분이라면 연산자를 안써보신분이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쓰고는지도 어떤 연산자인지도 모르는 경우가 흔합니다. 이번 글에서 연산자에 대한 개념을 집고 넘어가 보겠습니다. 그럼 이번 글에서 이 연산자에 대해서 자세히 파보도록 하겠습니다. (알고보면 정말 별거 아니지만 알고 있냐.. 2023. 12. 27.
02. 프로그래밍에 필요한 전산지식 2탄 - 상수와 변수 안녕하세요. 콤퓨타 학원에 원장을 하고 있는 이프로입니다. 헤헴 ^^ 지난 글에 자료형에 대해서 잘 보셨나요? 자료형에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자료형은 데이터의 형태를 표현하는 것이라고 하면 상수와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해 놓는 곳을 말합니다. 바로 시작해보겠습니다. 상수와 변수가 왜 필요할까? 상수와 변수가 왜 필요할가요? 우리가 입으로 말을 한다고 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라고 말을 하면 음파라고 해야할까요?(이쪽 전문가가 아니니 적당히 이해해주세요) 음파가 만들어지고 일정 거리까지 퍼지고 사라집니다. 사라진 이후에는 제가 했던 말을 못들은 사람은 내가 이야기한걸 알지 못합니다. 그렇다면 녹음기에 제가 "안녕하세요~"라고 녹음을 하면 재생을 할때마다 했던 말을 계속 들을 수 있습니다. 이 개념은 정말.. 2023. 12.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