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콤퓨타 학원에 원장을 하고 있는 이프로입니다. 헤헴 ^^
함수.... 수학에서 볼만한 단어입니다.
동작 원리로 보면 수학에서 말하는 함수와 별만 다를게 없다고 생각합니다.
오늘 주제는 생각보다 간단할 거 같은데 바로 시작해보겠습니다.
함수
함수를 설명할때 위 그림을 많이 사용하는데요.
함수쪽으로 어떻한 데이터를 넣으면 함수에서 정해놓은 작업을 하고 그의 결과를 내보내주는 기능을 합니다.
예전 글의 예제를 가져와보면
[바구니에 담긴 사과를 카운트하세요] 이부분을 함수를 이용한다고 생각해보겠습니다.
1. 함수에 바구니에 담긴 사과 데이터를 넣어 줍니다.
2. 함수가 바구니에 담긴 사과를 타운트 합니다.
3. 카운트가 끝나면 카운트 결과를 내보내줍니다.
이부분에서 잠시 한번 생각을 해보겠습니다.
입력되는 데이터 부분은 사과의 계수가 계속 변화가 있지만 함수안에서 사과를 카운팅하는 방식은 변화가 있을까요?
사람이 바구니에서 사과를 꺼내여 하나씩 센다고 했을때 그 사람의 행동은 변화가 없을겁니다.
사과의 수만큼 반복은 할뿐이조.
그렇뜻 함수도 동작은 변화가 없을 것입니다.
함수라함은 그런 것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함수자체의 기능은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만들어져 있습니다.
하지만 입력된 데이터에 영향은 일부받을수 있지만 본질적으로 함수가 하려는 주 목적은 달라지지 않지요.
코딩을 할때 비슷한 기능을 계속적으로 나열해 코딩을 한다고 생각을 해보면 코딩량이 정말 많아지겠조.
이걸 입력값만 조정하면 함수내에서 비슷한 기능들을 할수 있도록 구현해 놓으면 코딩할때 반복할 필요 없이
함수를 가져다 쓰면 코딩량도 줄어들고 만약에 수정할일이 생겼을때 함수 내의 동작방식만 바꾸면 함수를 가져다 쓰는 모든 곳에서 도일하게 변경이 될 것입니다.
반대로 생각하면 반복되면 코드이면서 수정시 한번에 수정되길 원할때 함수를 선택하게 되겠조.
함수를 사용할때 일반적인 키워드 소개합니다.
1. function
2. return
프로그래머는 단순 반복하는 걸 정만 귀찮아하고 어떻게 하면 효율적이고 간단하게 할 수 있을까 엄청나게 고민하는 변태같은 사람이여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야 함수를 정말 적극적으로 사용 할 것이고 그럼 좀 더 단순화 된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지 않을까합니다.
이글은 여기까지 입니다.
여러분들의 관심과 사랑이 있다면 좀 더 좀은 컨텐츠를 제공해줄 수 있을거 같습니다.
많은 관심과 사랑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그럼 콤빠~
'프로그래밍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02. 프로그래밍에 필요한 전산지식 4탄 - 제어문 (0) | 2023.12.28 |
---|---|
02. 프로그래밍에 필요한 전산지식 3탄 - 연산자 (0) | 2023.12.27 |
02. 프로그래밍에 필요한 전산지식 2탄 - 상수와 변수 (0) | 2023.12.26 |
02. 프로그래밍에 필요한 전산지식 1탄 - 자료형 (0) | 2023.12.21 |
01. 프로그래밍 기초 소개 (0) | 2023.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