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콤퓨타 학원에 원장을 하고 있는 이프로입니다. 헤헴 ^^
지난 글에 자료형에 대해서 잘 보셨나요?
자료형에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자료형은 데이터의 형태를 표현하는 것이라고 하면 상수와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해 놓는 곳을 말합니다.
바로 시작해보겠습니다.
상수와 변수가 왜 필요할까?
상수와 변수가 왜 필요할가요?
우리가 입으로 말을 한다고 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라고 말을 하면 음파라고 해야할까요?(이쪽 전문가가 아니니 적당히 이해해주세요)
음파가 만들어지고 일정 거리까지 퍼지고 사라집니다.
사라진 이후에는 제가 했던 말을 못들은 사람은 내가 이야기한걸 알지 못합니다.
그렇다면 녹음기에 제가 "안녕하세요~"라고 녹음을 하면 재생을 할때마다 했던 말을 계속 들을 수 있습니다.
이 개념은 정말 주요한 개념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럼 전에 예를 들었던 특정 폴더에 파일들 중에 용량이 가장 큰것만 빼고 모두 삭제하는 방법에 대해서 녹음을 했다고 생가해볼께요.
그럼 제가 없더라도 언재든 제가 녹음 해 놓은 말을 듣고 어떤게 일을 해야할지 판단 할 수 있을 겁니다.
"바구니", "사과"는 문자열이조. 1,2,3은 정수형이조.
하지만 이 데이터를 어디앤가 붙잡아 주지 않는다면 이 데이터는 사라지고 맙니다.
녹음기에 데이터를 기록해 놓은것처럼 문자열, 정수형 등등의 데이터를 어디앤가 담아주고 컴퓨터에게 일을 시킬때 이 데이터를 가져와 사용한다면 좋겠조.
이런 일을 할수 있는 친구들이 상수와 변수입니다.
기본적으로 상수와 변수는 특정 값을 받아 두었더가 필요할때 가져와 사용 가능합니다.
상수
상수는 최초에 특정 값을 받아 기억하고 있다가 필요할때 가져와 사용 할 수 있습니다.
특징이 하나 있는데요. 상수는 한번 데이터를 기억하면 다른 데이터로 변경 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한번 상수에 값을 기록 하고 변경하지 않겠다는 강한 의지를 느낄수 있습니다.
그래서 다른 사람이 프로그래밍한 코드를 분석을 할때 상수로 값을 기록한다면 그값이 변경되지 않으니 무언가 고유한 값을 표현 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 할 수 있습니다.
변수
상수를 보셨다면 변수가 어떤 것인지 짐작이 될 것인데요.
변수는 어떤 데이터을 기록 했다고 하더라도 나중에 다른 데이터로 다시 바꿔서 기록 할 수 있습니다.
변수는 하나의 데이터 형의 데이터만 기록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이야기기하면 다양한 이야기를 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배열도 있는데요.", "오브젝트도 있는데요." 등등
이렇게 이야기를 시작하면 정말 복잡한 이야기를 시작하게 됩니다.
배열이나 오브젝트들은 일반 자료형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일반 자료형이 아닐 경우 일반 자료형과 조금 다른게 동작합니다.
간단하게 이자기 드리자면 상수, 변수(일반자료형)의 경우 메모리에 등록 될때 데이터가 해당 위치에 직접 저장이 됩니다.
그 외의 자료형 배열, 오브젝트 같은 자료형은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는 따로 있고 저장한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따로 가지고 있게 됩니다.
이건 코드 부분을 분석할때 정말 중요한 개념이 됩니다.
변수에 담아 놓은 정보가 일반자료형이냐 아니냐에 따라 사용법이 약간씩 달라질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림을 잘 기억하고 있으시면 추후에 해당 그리을 다시보면서 설명할일이 있을 겁니다.
지금은 이정도로만 이해하고 있으면 될거 같습니다.
팁
프로그래머들끼리 대화를 하다보면 변수변수 말을 하는데요. 상수를 말할때도 변수라고 표현합니다.
왜냐고 말씀하시면 답변이 조금 어려울수 있는데요. 상수것과 변수인 것을 분리해서 말하면 일일히 분리해서 말을해야하는데 불편한거 같아서 인거 같습니다. 상수와 변수의 경개선이 애매한 프로그래밍 언어도 있고요.
그래서 통칭으로 변수라고 많이 표현합니다.
이부분 참고하시면 프로그래머들과 대화시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변수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셨나요?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해두고 사용하는 것이 주 목적이므로 정말정말 많이 사용되어 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해도가 높아질수로 코딩에 정말 큰 도움을 주리라 생각합니다.
이글은 여기까지 입니다.
여러분들의 관심과 사랑이 있다면 좀 더 좀은 컨텐츠를 제공해줄 수 있을거 같습니다.
많은 관심과 사랑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그럼 콤빠~
'프로그래밍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02. 프로그래밍에 필요한 전산지식 5탄 - 함수 (0) | 2023.12.29 |
---|---|
02. 프로그래밍에 필요한 전산지식 4탄 - 제어문 (0) | 2023.12.28 |
02. 프로그래밍에 필요한 전산지식 3탄 - 연산자 (0) | 2023.12.27 |
02. 프로그래밍에 필요한 전산지식 1탄 - 자료형 (0) | 2023.12.21 |
01. 프로그래밍 기초 소개 (0) | 2023.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