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콤퓨타 활용/윈도우 기초

02. 윈도우 (3화) - 파일탐색기 #1

by ** 이프로 ** 2023. 11. 27.

안녕하세요.

콤퓨타 학원에 원장을 하고 있는 이프로입니다. 헤헴 ^^

 

이번글은 파일 탐색기 소개와 파일 탐색기를 보기위해서 기본적으로 알아야 하는 지식들은 소개드리겠습니다.

윈도우 10이나 11이나 외형적으로 다를뿐 본질적으로 내용은 같으니 참고하세요.

* 윈도우만 쓸줄 알면 되지 이런거 왜 배우냐 이런 생각을 할 수 있지만 이부분은 정말정말 중요한 부분들입니다.
  꼭! 숙지하셔야 합니다. 그래서 윈도우를 이해하고 윈도우와 좀 더 가까히 할 수 있습니다. ^^


 

흠. 파일 탐색기와 이부분을 보기위한 사전지식을 설명해드려야지 하면서 파일 탐색기를 열었는데.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파일 탐색기를 열었다고 생각하니. 설명을 어디서 부터 해야 빠르게 이해를 하실지 고민이 많이 되었습니다.

고민끝에 결정한것은 꼭 필요한 부분은 설명하고 나머지는 실제 클릭해보면서 연관성을 찾으면 금방 이해를 하실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도달했습니다.

모든걸 한번에 이해시켜드릴수 없을거 같으니 일단 퍼즐을 맞춘다고 생각하고 중요한것부터 하나하나 차근차근 설명드리겠습니다.

 

우선 파일 탐색기를 이해하는데 가장 필요한 드라이브, 폴더, 파일에 대한 이야기부터 시작해보겠습니다.


드라이브

 

드라이브 구성

 

드라이브는 하드디스크(HDD)와 관련이 깊습니다.

하드 디스크는 '하드웨어 VS 소프트웨어' 에서 간단히 설명드렸으니 기억이 안나시는 분들은 이곳에서 한번 하드 디스크에 대하여 읽어 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드라이브는 하드디스크를 추가하면 물리적 단위로 드라이브가 생성이 됩니다.

위 이미지는 제 PC의 드라이브를 표시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제 PC에 하드 디스크를 3개가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 할 수 있겠조.

물론 조금 더 복잡한부부들이 있긴 하지만 특별히 설정을 한것이 아니라면 하드 디스크가 3개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 맞는 말이 됩니다.

C:, D:, E: 이런게 표시된부분들이 하드디스크에 할당된 영역을 표현하고 있고 사람이 이해하기 쉽도록
C:, D:, E:  앞부분은 별칭을 붙여서 표현 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걸 읽을때에는 C드라이브, D드라이브, E드라이브라고 부릅니다.

이해가 가시나요?
다시 정리를 해보자면 하드 드스크 갯수마다 드라이브가 추가되고 추가된 드라이브는 C부터 드라이브 명칭이 자동(?) 할당됩니다.
(자동 할당은 솔직히 아니고 수정으로 할당을 해줘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자세한 것은 많은 시직이 생긴 후 이야기 하도록 하겠습니다.)


 

폴더

폴더는 각 드라이브 보다 작은 단위이고 각 드라이브 안쪽에 폴더들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위 이미지의 붉은색부분이 폴더를 의미합니다.

좀 더 구분하기 쉬운 방법은 텍스트 앞쪽에 그림이 있는데 이걸 우리는 아이콘이라고 부르는데요. 이 아이콘에 모양이 노란색이고 마치 책갈피 같은 느낌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런 아이콘 모양을 표현한다면 폴더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폴더 역할은 여러가지 기록물을 그룹화하여 모아둘수 있는 역할을 합니다.

아이콘의 느낌과 같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조. 단 차이점이라고 하면 폴더 안쪽에 또 폴더가 존재 할수 있고 좀 더 세부분류를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문서 폴더를 더블클릭하여 이동
문서 폴더로 이동

파일 탐색기를 처음 열었을때 문서라는 폴더가 보일 건데요. 더블 클릭하시면 해당 폴더로 이동하여 안쪽 내용을 보실수가 있습니다.

안으로 들어가면 여러가지 폴더가 더 보이실것이고 폴더 외에도 다른것도 보이실수도 있습니다.

다시 정리하자면 폴더드라이브 하위에 구성되어 있고 각 목적별로 기록물을 관리하기 쉽도록 해주는 도구이고 폴더 하위에 폴더가 계속 구성되어 세부적으로 기록물을 그룹화 할수 있습니다.


 

 

 

파일

파일 리스트

파일은 제가 기존에 계속 기록물이라고 표현한 것들이 모두 파일을 지칭합니다.

모든 파일들은 유의미한 데이터들을 담아둔 곳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파일폴더의 하위구조로 드라이브폴더 하위에만 파일이 존재 할 수 있습니다.

파일에 추가적인 특정을 보자면 이름끝부분에 .(점)이 있고 그 뒤에 3,4의 텍스트를 가지고 있는게 특징인데요.

(참고로 3,4개의 텍스트가 안보이시는 분이 있을 건데요. 파일 탐색기 #2에 관련 내용이 있으니 없더라도 그런게 있다라고 아시고 넘어가시고 다음 글에서 이해를 하셔도 됩니다. ^^)

해당파일에 어떤 기록물이 담겨져 있는지를 구분하기 위한 목적이 있고 우리는 이걸 확장자라고 말합니다.

확장자의 종류는 [이곳]을 참고 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물론 이 확장자 이외에도 많은 확장자 들이 있습니다.

 

파일 앞부분에 아이콘이 있는데 아이콘은 뒤 확장자에 의해서 정의된 경우가 대부분이고 특별한경우가 아니라면 모두 확장자에 맞는 아이콘이 표현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래서 파일드라이브, 폴더가 아닌 것은 모두 파일이라고 보시면됩니다.

파일에 대해서 좀 더 이야기 할 것들이 있지만 추후에 더 설명할 기회가 있다고 생각하고 다음으로 넘어가겠습니다.


 

윈도우 구성
C 드라이라이브에 윈도우 폴더 구성
C:\
|-- Program Files: 64비트 응용 프로그램 설치 시 기본 경로
|-- Program Files (x86): 32비트 응용 프로그램 설치 시 기본 경로
|-- 사용자
|   |-- (관리자 또는 사용자)
|   |   |-- 연락처: 연락처 정보 저장 폴더
|   |   |-- 바탕화면: 바탕화면에 있는 파일 및 바로 가기 아이콘
|   |   |-- 문서: 문서 파일 저장 폴더
|   |   |-- 다운로드: 다운로드한 파일 저장 폴더
|   |   |-- 즐겨찾기: Internet Explorer에서 즐겨찾기에 추가한 웹 페이지 저장 폴더
|   |   |-- 링크: Windows 탐색기에서 사용하는 링크 저장 폴더
|   |   |-- 음악: 음악 파일 저장 폴더
|   |   |-- OneDrive: OneDrive 클라우드 서비스와 연동된 폴더
|   |   |-- 사진: 사진 파일 저장 폴더
|   |   |-- 저장된 게임: 게임 저장 파일 폴더
|   |   |-- 검색: 검색 기록 및 결과를 저장하는 폴더
|   |   |-- 동영상: 동영상 파일 저장 폴더
|-- 공용
|   |-- 공용 문서: 모든 사용자가 공유하는 문서 저장 폴더
|   |-- 공용 다운로드: 모든 사용자가 공유하는 다운로드 폴더
|   |-- 공용 음악: 모든 사용자가 공유하는 음악 저장 폴더
|   |-- 공용 사진: 모든 사용자가 공유하는 사진 저장 폴더
|   |-- 공용 동영상: 모든 사용자가 공유하는 동영상 저장 폴더
|-- Temp: 시스템 및 응용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임시 파일 저장 폴더
|-- Windows: Windows 운영체제 파일 및 시스템 폴더

윈도우에서 제공되는 폴더 기본 구성입니다.

Program files, Program Files(x86)은 윈도우에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설치하면 이곳에 기록됩니다.

윈도우에 이해도가 높아지기 전까지는 꼭 들어가 확인해보실필요는 없습니다.

 

사용자라는 폴더는 로그인 한 사용자 권한에 맞는 폴더들이 표현이 되는데 각 항목별 설명은 위 내역을 확인하시면될거 같구요.

파일을 저장할때 각 목적에 맞는 폴더에 저장하시면 관리가 편하실 겁니다. 그 외에도 파일과 폴더들이 많을수 있는데. 현재로서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이번글은 좀 난해한것도 많고 설명한 것도 많은데요.
한번에 너무 많은 내용을 설명하면 의욕문제가 이해를 못하는 문제가 생길수 있으니 파트를 나누기로 했습니다.
이번글을 읽으시면서 드라이브, 폴더, 파일등 기본적인 구조를 파악하는데 집중해주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이제 파일시스템에서 기본적으로 윈도우 구조를 볼수 있는 기본지식이 생겼다고 보고 다음 글에 파일 탐색기에 대하여 좀 더 자세히 이야기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글은 여기 까지이구요.
저의 글은 여러분들의 사랑을 받는다면 좀 더 좋은 글을 쓸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짧은 댓글이나 하트를 달아주신다면 많은 힘이 될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콤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