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 프로그래밍에 필요한 전산지식 1탄 - 자료형
안녕하세요.
콤퓨타 학원에 원장을 하고 있는 이프로입니다. 헤헴 ^^
프로그래밍에 필요한 전산 지식 첫번째 글인데요.
자료형에 대하여 이야기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자료형
컴퓨터에게 명령을 내리기 위해서는 무언가가 있어야 할 것 같은데요.
사람에게 일을 시킨다고 해볼께요.
바구니가 있고 사과가 담겨져있는데 해당 바구니에 사과가 몇개인지 확인해야 한다고 해볼께요.
그럼 바구니, 사과 이런 정보가 있잖아요. 이런걸 컴퓨터에게는 하나의 정보로 인식을 한다고 생각을 해볼께요.
그럼 컴퓨터에게 바구니와 사과에 대한 정보를 알려줘야 합니다.그래야 바구니, 사과를 가지고 무언가 일을 시킬수 있을 거니까요.
우리들은 바구니, 사과 이런걸 문자(텍스트)라고 부르조.(다른 표현도 있지만요)사과의 곗수를 세는 거라면 사과의 곗수 1,2,3,4,5 이런걸 우리는 숫자라고 부릅니다.컴퓨터에게도 이런 정보들의 형태를 지정해주고 있는데요.이걸 우리는 자료형이라고 표현합니다.
그럼. 자료형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
### 기본 자료형 ###
1. 정수형 (Integer)
- 설명: 정수를 나타내는 자료형. 예를 들어, -3, 0, 42와 같은 수.
- 일상 예시: 층수, 나이, 온도 등 수치로 표현되는 양.
2. 부동 소수점형 (Float)
- 설명: 소수점을 포함한 수를 나타냄. 예: 3.14, -0.001.
- 일상 예시: 물의 양, 체중, 거리 측정 등.
3. 문자열 (String)
- 설명: 텍스트를 표현. 예: "안녕하세요", "Hello World".
- 일상 예시: 이름, 주소, 책의 내용 등.
4. 불리언 (Boolean)
- 설명: 참(True) 또는 거짓(False)만을 가짐.
- 일상 예시: 스위치 켜짐/꺼짐, 답변이 '예' 또는 '아니오'.
<chatgpt를 이용한 생성 - 생각보다 잘 정리해주네요. ^^>
-------------------------------------------------------------------------------------------------
위 내용들이 기본 자료형(저는 일반 자료형이라고 표현하기도 하구요) 이라고 보통 부릅니다.
위에서 언급한 종류 말고더 더 많은 종류가 있지만 대표적인 것만 언급 하였습니다.
자료형 꼭~ 기억하셔야 합니다. 기본 자료형과 아닌 것의 엄청난 차이점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해당 부분이 되면 이유까지 같이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컴퓨터게에 바구니를 알려줄때는 문자열 자료형을 이용해야 하는구나~
컴퓨터게에 사과가 4개 있을대 4를 정수형 자료형을 이용해야 하는구나~
이걸 어떻게 사용하느냐는 그냥 기술적인 부분입니다.
그냥 배우면 되는거에요.
하지만 자료형이 무엇이고 컴퓨터에게 일을 시킬때 자료형이 왜 필요한지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정말 중요합니다.
기본적이 화면 구조에 대해서 이야기 드렸는데요. 각 항목별로 추가로 설명해야하는 부분들은 추가로 글을 써서 좀 더 자세히 사용법과 팁을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럼 콤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