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콤퓨타 학원에 원장을 하고 있는 이프로입니다. 헤헴 ^^
지난 글을 보시고 파일에 대해서 조금이나마 이해가 되셨나요?
제 생각으로는 폴더와 파일이 가장 중요한 부분인데 여기까지 제 글을 꾸준히 보셨다면
정말 윈도우에 대해서 많은 부분을 아시게 됐을거라 생각합니다.
폴더와 파일에서 또 중요한 것이 있는데 바로 용량입니다.
하드웨어중에 저장장치인 HDD, SSD등이 있는데요. 폴더, 파일들이 바로 그 곳에 저장이 됩니다.
하지만 무한정 저장을 할 수가 없어요.
저장장치에는 크기가 정해져있기 때문입니다.
이걸 저희는 용량이라고 표현 합니다.
용량에 대한 여러가지 이야기를 이번 글에 다뤄보려고 합니다.
지금 시작합니다.
용량
용량은 저장장치(HDD, SSD 등)에 얼마나 많은 데이터를 저장 할 수 있는지를 숫자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위 이미지에서 보이시는 것처럼 '내 PC'를 선택해보시면 컨텐츠 영역에 드라이브별 xxx 사용 가능 이라는 표현을 보실수 있을건데요. 그중에 이상한게 있습니다. GB라고 표현된 것이조.
GB가 무었일까요? 바로 용량의 크기를 표현한 단위입니다.
일단 용량을 표현하는 단위가 있는데요. 한번 나열해보겠습니다.
1. 비트 (bit)
2. 바이트 (byte) = 8 비트
3. 킬로바이트 (KB) = 1,024 바이트
4. 메가바이트 (MB) = 1,024 킬로바이트
5. 기가바이트 (GB) = 1,024 메가바이트
6. 테라바이트 (TB) = 1,024 기가바이트
7. 페타바이트 (PB) = 1,024 테라바이트
8. 엑사바이트 (EB) = 1,024 페타바이트
9. 제타바이트 (ZB) = 1,024 엑사바이트
10. 요타바이트 (YB) = 1,024 제타바이트
와우! 용량의 단위가 참 많조.
비트 8개가 모이면 이걸 1바이트라고 표현하는데요.그런 부분을 위에 보기 좋게 나열한 것입니다.그럼 1바이트가 1,024개 모이면 1킬로바이트가 되는 식이됩니다.그렇다면 위에서 우리가 본 GB(기가바이트)는 비트 단위로 생각해보면엄청나게 큰 숫자처럼 느껴집니다.
그런데 난 비트나 바이트가 얼마나 큰지를 모르지 어느정도의 크기인지 느낌이 오지 않습니다.그래서 약간이나마 크기에 대한 느낌을 드리고자 아래 예시를 보여드리 겠습니다.
메모장에 a라는 글자를 하나 넣고 해당 파일에 마우스 우클릭 후 팝업에서 속성을 선택하면 이미지 오른쪽 처럼 팝업이 열리는데요.
크기 부분을 보시면 1바이트라고 표현이 되어 있습니다.
위 용량크기를 나열해드렸었는데. 그중에 2번째의 것이 바이트 였습니다.
다시 정리하여 말씀드리면 영문 한글자가 1바이트를 차지하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한글을 한글자 입력해서 확인해보앗습니다.
3바이트를 차지하는 군요. 한글이나 일본어 등 문자의 조합이 다양한 경우는 보통 3바이트를 차지합니다.
2바이트라는 말씀을 하시는 분들이 있을수도 있지만 이런부분은 좀 복장합 속사정들있지만 지금은 눈을 가리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그럼 너무 깊이 들어가버리는 느낌이 되어서 다루지 않겠습니다.)
이걸 보여드리는 주 목적은 용량의 크기에 대한 감각을 조금이나마 드리려고 한 것입니다.
영어 한글짜가 1바이트면 1GB는 엄청나게 많은 데이터를 저장 할 수 있다는 느낌이 오시나요?
폴더, 파일 용량 확인
용량을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한데요. 그중 몇가지 방법을 소계하겠습니다.
내가 확인하고 싶은 폴더 혹은 파일에 마우스 우클릭 후 팝업에서 속성 항목을 선택합니다.
그럼 속성 팝업이 열리는데요. 그중 크기 항목에 해당 폴더나 파일의 크기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 속성창에는 용량이외에서 파일명, 만들 날짜, 수정날짜 등등 많은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으니 한번 둘러보는 것도 좋은거 같습니다.
이 글 처음에 보여드린 이미지 인데요. 내 PC를 선택하시면 각 드라이브의 최대 용량과 남은 용량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파일 탐색기에서 우측 하단에 세부 정보 패널을 선택 한 상태에서 컨텐츠 영역을 보시면 크기라는 항목을 아실수 있는데요.
이 부분에서는 파일에 용량만 확인 할 수 있고 폴더의 용량을 확인 할 수는 없습니다.
폴더의 용량을 알고 싶다면 위에서 소개드릴 속성창에서 확인이 가능한데요.
이유는 속성창은 폴더의 하위에 모든 데이터 용량을 합계하여 표현해주기 때문입니다.
용량에 대한 참고 사항
위 이미지를 계속 재활용 하고 있습니다. ^^ㅣ
일반적으로 윈도우는 C드라이브에 설치가 됩니다. 기본 드라이브조.
윈도우에서는 자신이 설치되어 있는 C드라이브를 정말 많이 활용합니다.
예를 들어 저희가 공부를 하기 위해서 책상에 앉았는데 다른 책들이 책상을 대부분 차지하고 있다고
내가 공부할 책을 찾기도 힘들고 공간도 부족하니 책상을 재대로 활용하기 어렵겠조.
그래서 윈도우가 설치되어 있는 C드라이브에는 항상 어느정도의 저장공간을 남겨주는 것을 추천하고 있습니다.
지금 보이는 이미지에 막대그래프에 붉은색으로 표현되는정도로 사용하는 것은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물론 부족하다고 컴퓨터가 터지지는 않습니다. ^^;
용량이 부족해지기 전에 저장장치를 구매하여 추가 설치하는 걸 추천 드립니다.
저장 장치가 그렇게 비싸지 않습니다.
(아! 초보자 분들은 그것도 어려우시다구요. ㅜㅜ 제가 열심히 글을 작업해서 그런 부분도 글을 남길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파일 시스템에 대한 이야기는 여기까지하도록 하겠습니다.
윈도우 기반이 폴더, 파일이라는 것을 느끼셨는지 잘 모르겠네요.
이 폴더, 파일들이 모여서 여러 프로그램들이 사용되고 관리되고 있다는 걸 잊지 마셨으면 합니다.
다름 부터는 좀 더 윈도우 환경적인 부분들은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여러분들의 구독과 하트를 받고 자라는 사람입니다. 물론 댓글도요.
여러분들에 힘이 필요합니다. ^^
감사합니다.
그럼 콤빠~
'콤퓨타 활용 > 윈도우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02. 윈도우 (5화) - 작업 표시줄 (0) | 2023.12.05 |
---|---|
02. 윈도우 (5화) - 시작 메뉴 (0) | 2023.12.04 |
02. 윈도우 (4화) - 폴더, 파일 관리(#2) (0) | 2023.11.30 |
02. 윈도우 (4화) - 폴더, 파일 관리(#1) (0) | 2023.11.29 |
02. 윈도우 (3화) - 파일탐색기 #2 (0) | 2023.11.28 |